수의학 전문가를 위한 세계적인 수의학 저널
수의학 전문가를 위한 세계적인 수의학 저널

발행호 번호 31.1 기타 학술 주제

Feline pododermatitis

출간일 02/09/2021

저자 Ronnie Kaufmann

선택 가능 언어 Français , Deutsch , Italiano , Română , Español , English 그리고 Українська

발에 다양한 병변이 생긴 고양이들이 1차 동물병원에 종종 내원하게 된다. 이 글에서 Ronnie Kaufmann은 발에 생긴 병변에 대하여 주요 감별진단, 진단법, 치료 옵션을 논의하고자 한다.

 형질세포 지간피부염(PCP)은 집고양이 이외의 고양이과 동물에게도 발생할 수 있다. 이 사진은 PCP가 의심되는 호랑이(Panthera tigris)의 발바닥 사진이다. 발바닥 육구에 전체적으로 궤양이 있으나 특히 발바닥 중앙 육구에 궤양이 심하다.

Key points

지간피부염(pododermatitis)은 최종 진단명이 아닌 서술적 용어(descriptive term)로, 발의 피부, 발가락 사이(지간), 발톱과 맞닿아 있는 부위(nail folds)에 생기는 피부염이다.


지간피부염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대부분 특징적인 임상 징후를 기반으로 하고 일반적으로 미세침 흡인(fineneedle aspirate) 검사 소견으로 확인할 수 있다.


조직 병리학 검사를 통해 확진하며, 보통 면역조절요법(immunomodulation)을 사용하지만 개별 질병 과정에 따라 다르며, 예후 또한 그렇다.


만성 염증 치료가 필요한 경우, 면역 조절 약물을 투여하되 증상이 관리되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한 최저 빈도까지 점감해야 한다.


서론

지간피부염(pododermatitis)에는 발의 피부, 지간, 발톱과 맞닿아 있는 피부에 생긴 염증[발톱주위염(paronychia)]이 포함되며, 때로 발에 생긴 염증의 임상 징후를 통칭하는 용어이다. 지간피부염은 이상 징후가 유일하게 발에서만 발견될 수도 있지만, 다른 피부 부위나 전신 임상 징후를 동반할 수도 있으므로, 발바닥 병변이 있는 고양이를 검진할 때는 전신을 꼼꼼히 검진하도록 한다. 지간피부염은 서술적 용어로, 최종 진단명이 아니므로, 하나 이상의 감별 진단이 있을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고양이 지간피부염의 전반적인 유병률은 낮은 편이다 1. 고양이의 육구(pad)에 생기는 질병에는 호산구성 육아종(eosinophilic granuloma), 낙엽천포창(pemphigus foliaceous), 모기 물림 과민증(mosquito bite hypersensitivity), 전이성 선암종[폐-발가락 증후군(lung-digit syndrome)이라고도 함], 형질세포 지간피부염(plasma cell pododermatitis)이 있지만, 이러한 질병에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형질세포 지간피부염

발병원인 및 임상 징후

형질세포 지간피부염(Plasma cell pododermatitis, PCP)은 고양이의 육구(pads)에 생긴 부드러운 부종을 특징으로 하는 희귀한 피부 질환으로, 끝내 궤양이 생겨 통증, 파행(lameness)이 올 수 있다 2 3 4 5 6 7. 많은 연구에서 유발 인자가 무엇인지 조사했지만, 정확한 유발인자나 발병 원인이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최근의 한 연구 7에서도 조직 표본(tissue samples)에서 여러 가지 감염원(Bartonella spp., Ehrlichia spp., Anaplasma phagocytophilum, Chlamydophila felis, Mycoplasma spp., Toxoplasma gondii, 고양이 헤르페스 바이러스)을 면역조직화(immunohistochemistry) 검사 및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통해 확인하려 했으나 결국 검출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전 연구 자료에서는 형질세포 지간피부염(이하 PCP)이 있는 고양이 증례의 44-62%에서 FIV(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감염이 동반되었음을 보고했지만, 인과성이 있다기보다는 우연적 연관성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4 5 6 7 8. 계절성이 명백함으로 인해 알러지가 원인일 수도 있다고 추정되기도 한다 4 8. 감염원에 대한 근거 부족, 조직 형질세포증가증(plasmacytosis) 소견, 지속적인 고감마글로불린혈증(hypergammaglobulinemia) 소견, 면역조절약물에 치료 반응을 보인다는 점을 근거로 하여, PCP는 면역매개성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2 3.

PCP는 거의 모든 연령의 고양이에게 발병할 수 있으며 성별 소인이나 품종 소인은 없다. 임상 징후는 육구(pads)에 홍반, 탈색, 은색 줄무늬, 미세 인설과 더불어 무통의 부드럽고 스폰지 같은 부종이 생기며, 심한 경우에는 궤양, 출혈, 통증, 파행 등 증상이 다양하다(그림 1-3). 일반적으로 발의 여러 부위에 문제가 생기는데, 병변은 주로 앞뒷발의 중앙 육구(central metacarpal and metatarsal pads)에 발생한다. 발가락쪽 육구(digital pads)에도 병변이 있을 수 있지만 이 경우 일반적으로 증상의 심각성이 낮다. 아주 드물게 발바닥의 육구 중 한 부분에만 국한되어 병변이 나타날 수도 있다. 세균으로 인한 이차 감염은 드물지 않게 발생한다 2 3 4 5 6 7 8

일부 감염된 고양이는 다른 임상 징후를 보일 수 있다. 즉, 컨디션 저조, 타액 과다 4, 림프절병증(lymphadenopathy), 발열, 식욕 부진, 무기력, (드물게) 형질세포 피부염을 보일 수 있으며, 여기에 코의 부종이나 구내염 3 4을 동반할 수도 있다. 면역 매개성 사구체신염 또는 신장 아밀로이드증(renal amyloidosis)도 보고된 바 있다 2 3 8. 임상병리학 검사상, 백혈구증가증, 혈소판감소증 소견이 있을 수 있으며, 다클론성 감마병증(polycloncal gammopathy)은 모든 증례에서 나타나고 치료 후에도 지속될 수 있다 2 5.

진단

잠정적 진단은 일반적인 임상 징후를 바탕으로 내릴 수 있다. PCP는 궤양 유무에 상관없이 일반적으로 한 개 이상의 발바닥 중앙 육구에 발생하는 부드러운 부종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피부 병변 없이 발바닥 중앙 육구에 부종이 발생한 경우, PCP일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부어오른 육구를 미세침으로 흡인(fine-needle aspiration, FNA)하면 혈장 세포가 보인다 2 3 6 (그림 4). 확진은 조직 병리학검사를 기반으로 하며, 이때 표본 채취를 궤양성 병변에서 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조직 병리학 검사상, 진피와 피하조직 전체에 형질 세포의 미만성 침윤이 있고, Mott세포[러셀 소체(Russell body)를 포함한 형질 세포] 뿐 아니라 다양한 수의 림프구, 호중구, 호산구가 나타난다. 만성 증례의 경우에는 섬유증(fibrosis)과 육아조직(granulation tissue)이 보일 수 있다 2 3 4 6 7 8.

PCP와 감별 진단을 해야 하는 주요 질환은 호산구성 육아종(eosinophilic granuloma)인데, 호산구성 육아종의 증례에서는 흔히 피부 병변이 동반되기는 해도 여러 발에 병변이 있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지간(interdigital spaces)에만 병변이 생기는 경향이 있다 2 3. 단일 육구에만 병변이 있는 경우에는 신생물(neoplasia)이나 이물질(foreign body)을 고려해봐야 한다 3. 여러 개의 발에 병변이 있는 경우, 특히 발톱주위염(paronychia)이 동반된 증례라면 감염증일 가능성이 있다.

치료

PCP는 완화와 악화의 과정이 반복되는 특징이 있으며, 일부 증례에서는 자발적으로 회복되는 반면, 평생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2 3 6 8. 현재 주로 사용되는 치료법은 면역조절요법이며 치료 초기에 가장 권장되는 치료법은 면역조절 효능이 있는 항생제인 경구용 독시사이클린(doxycycline)을 투여하는 것이다 2 3. 권장 복용량은 10mg/kg q24H 또는 5mg/kg q12H로 임상 증상이 완화될 때까지 투여하며, 최대 12주가 걸릴 수 있다 5 6. 고양이는 약물 유발 식도염(esophagitis)과 약물로 인해 식도 협착(esophageal stricture)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정제 또는 캡슐을 음식이나 물과 함께 투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2 3. 임상 징후가 심각하거나 독시사이클린이 효과가 없는 경우에는 전신 글루코코르티코이드를 투여한다.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2-4mg/kg q24H, 트리암시놀론(triamcinolone) 0.4-0.6mg/kg q24H 또는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0.5mg/kg q24H로 투여하면서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e)을 5-7.5mg/kg q24H로 병용투여하고, 일단 관해(remission) 상태에 이르면 천천히 점감한다 2 3. 외과적 절제술 또한 치료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바 있는데, 2년간의 추적 관찰 결과 외과적으로 치료한 육구에는 재발이 없었다 4 8. 만성 PCP 치료가 필요한 경우, 면역 조절 약물은 증상이 완화되는 범위 내에서 가장 낮은 빈도로 점감하며 투여해야 한다. 

 형질세포 지간피부염(PCP)이 있는 고양이의 발바닥 중앙 육구에 나타나는 전형적인 은색 줄무늬(silvery striae) 및 미세 인설(fine scaling)

그림 1. 형질세포 지간피부염(PCP)이 있는 고양이의 발바닥 중앙 육구에 나타나는 전형적인 은색 줄무늬(silvery striae) 및 미세 인설(fine scaling) ©Courtesy of Dr. Ramon Almela

형질세포 지간피부염(PCP)은 집고양이 이외의 고양이과 동물에게도 발생할 수 있다. 이 사진은 PCP가 의심되는 호랑이(Panthera tigris)의 발바닥 사진이다. 발바닥 육구에 전체적으로 궤양이 있으나 특히 발바닥 중앙 육구에 궤양이 심하다.

그림 2.  형질세포 지간피부염(PCP)은 집고양이 이외의 고양이과 동물에게도 발생할 수 있다. 이 사진은 PCP가 의심되는 호랑이(Panthera tigris)의 발바닥 사진이다. 발바닥 육구에 전체적으로 궤양이 있으나 특히 발바닥 중앙 육구에 궤양이 심하다. © Ronnie Kaufmann

일반적으로 형질세포 지간피부염(PCP) 증례에서 발바닥 중앙 육구의 궤양이 관찰된다.

그림 3.  일반적으로 형질세포 지간피부염(PCP) 증례에서 발바닥 중앙 육구의 궤양이 관찰된다. ©Courtesy of Dr. Federico Leone

형질세포 지간피부염(PCP)이 있는 고양이의 세포학적 소견; 호중구 사이에 있는 원형세포 (형질세포)에 주목한다.

그림 4.  형질세포 지간피부염(PCP)이 있는 고양이의 세포학적 소견; 호중구 사이에 있는 원형세포 (형질세포)에 주목한다. ©Courtesy of Dr. Elad Perry

Ronnie Kaufmann

 고양이 발에 가피성 병변 및 궤양성 병변이 있는 경우, 구강을 포함한 피부 검사를 철저하게 수행하여 다른 신체 부위에 추가적인 병변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Ronnie Kaufmann

호산구성 육아종

발병원인 및 임상 징후

고양이 발에 발생하는 호산구성 육아종(eosinophilic granuloma, EG)은 고양이 호산구성 육아종 복합체(eosinophilic granuloma complex, FEGC) 9 10 11의 흔한 증상 3가지 중 하나의 징후이다. 호산구성 육아종은 피부 반응 양상을 나타내는 용어로 최종 진단명이 되는 경우는 드물다. 호산구성 육아종 복합체(FEGC)의 정확한 병인은 불분명하지만, 곤충(주로 벼룩), 환경적인 알러젠, 음식에 대한 과민성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부 증례는 특발성이지만, 유전적 배경도 고려할 수 있다 9 10 11 12.

유전성(hereditary form) 호산구성 육아종(이하 EG)이 어린 나이에 발병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9 10 12, EG에는 품종 소인, 성별 소인, 연령 소인이 없다 9 10 11. 병변은 구강을 포함하여 신체의 어느 곳에서나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임상 양상은 매우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소양증이 없고 경계가 잘 구분되어 있으며 붉은빛을 띠는 노란색 결절이나 홍반의 형태로 융기되어 있고, 때로는 궤양이 있다 9 10 11. 발바닥 병변의 경우 일반적으로 표면이 딱딱하고 궤양이 있다(그림 5). 호산구증가증(eosinophilia)이 있을 수 있지만, 진단적 특징은 아니다 9 10 11. 한 배에서 난 새끼고양이 두 마리의 여러 발에 나타난 비정형 EG 병변에 대해 최근 한 연구에서 다룬 바 있다 12.

진단

고양이 발에 가피성 병변 및 궤양성 병변이 있는 경우, 구강을 포함한 피부 검사를 철저하게 수행하여 다른 신체 부위에 추가적인 병변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다른 신체 부위에 특징적인 병변이 있으면 EG를 의심해야 한다. 또한 EG가 의심되는 고양이는 다른 호산구성 병변이 있거나 속립성 피부염(miliary dermatitis)을 동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호산구성 질환일 가능성이 더욱 높아진다 9 10 11. 궤양성 병변이나 가피 병변을 압착 도말하거나 결절성 병변을 미세침 흡인(fine-needle aspiration, FNA)하면 진단에 도움이 된다. 표본에서는 일반적으로 호산구성 침윤과 혼합된 염증 반응이 주로 관찰된다 9 10. 조직 호산구증가증이 있으면, EG일 가능성이 있기는 하지만 그 자체만으로 EG를 진단할 수 없으며, 확진을 위해서는 조직학적 평가가 필요하다 9 10 11.

육구에 생긴 EG 병변은 신생물(편평세포암 및 비만세포 종양), 감염성 육아종[박테리아 모낭염과 절창증(furunculosis), 항상균(mycobacteria), 피부사상균, 심부 진균 감염], 농양(abscessation), 고양이 우두(feline cowpox), 이물질에 대한 반응, 무균성 육아종 질환 9 10 11과 감별 진단이 필요하다. 최종 진단은 조직 병리학 검사로 이루어지는데, 고립성 결절성 병변(solitary nodular lesions)에서 종양이나 이물질의 가능성을 배제하려면 조직 병리학 검사가 필수이다. 눈에 띄는 호산구성 침윤과 "불꽃 모양(flame features)"의 탈과립 호산구로 둘러싸인 콜라겐이 여러 곳에 보이는 결절성 또는 미만성 육아종성 피부염이 EG의 조직 병리학적 특징이다 9 10 11. 일단 EG로 진단이 확진되면, 모든 방법을 동원하여 기저 병인을 확인한다.

치료

EG의 예후는 PCP와 마찬가지로 다양하며 자발적인 회복이 가능하다. 기저 원인이 확인되고(예: 벼룩 과민증 또는 음식 과민증) 증상이 성공적으로 관리되는 증례의 경우, 문제를 일으키는 유발 인자를 피할 수 있으면 예후는 매우 좋다. 특발성이거나 아토피 관련 증례에서는 평생 치료가 필요하다 9 10 11. 치료는 면역조절요법을 통해 이루어지며, 프레드니솔론 1-2mg/ kg을 매일 경구 투여하다가 증상 관리가 되면 격일로 점감하여 투여한다. 때로는 더 높은 용량(최대 4mg/kg)을 투여할 수 있으며, 어떤 경우에는 덱사메타손 0.1-0.2mg/kg(증상 관리용 지속 투여 용량은 0.05-0.1mg/kg q72H으로 점감)이나 트리암시놀론 0.2-0.3mg/kg을 매일 투여하면 치료반응이 더 좋을 수 있다. 면역조절요법의 목표는 언제나 고양이에게 가능한 한 가장 적은 용량으로(더 중요한 것은 증상이 완화되는 범위 내에서 최소한의 빈도로) 면역조절약물을 지속 투여하는 것이다 9 10 11. 메틸프레드니솔론 아세테이트(methylprednisolone acetate) 주사제를 치료 약물로 선택하는 것은 최후의 수단이어야 한다. 왜냐하면, 이 약물은 부작용 위험성이 더 높을 뿐 아니라, 부작용이 발생한 경우에도 치료를 중단할 수 없고, 치료 반응이 불충분한 경우에는 투약량을 늘려야 하기 때문이다 9. 고양이의 경우 개보다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요법의 부작용이 흔하지 않지만, 부작용으로는 다갈증(polydipsia), 다식증(polyphagia), 체중 증가, 당뇨병, 요로 감염, 의원성 부신피질항진증(hyperadrenocorticism), 고양이 피부취약증후군(cutaneous fragility syndrome), 울혈성 심부전, 모낭충증(demodicosis), 피부사상균증(dermatophytosis) 등이 있다 9 10.

사이클로스포린 7-7.5mg/kg을 q24H로 투여하면 EG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 또한 입증되었다 9 10 11. 2-3주의 유도기(lag phase)로 인해, 치료는 최소 4주간 지속되며 치료 후에는 가능하면 격일로 점감 투여한다. 일부 증례에서는 q72H로 관리하면 성공적이다. 부작용은 흔하지 않지만, 25%의 확률로 고양이가 구토와 설사를 포함한 일시적 위장관 증상을 겪을 수 있다. 저자의 경험 상, 처음 2-3주 동안 마로피탄트(maropitant) 2mg/kg을 함께 투여하고 사이클로스포린의 일일 복용량을 조금씩 늘리면 구토 위험을 줄일 수 있었다. 다른 부작용으로는 체중 감소, (드물게) 치은 비대(gingival hyperplasia), 타액과다분비(hypersalivation), 식욕부진 및 지방간(hepatic lipidosis)이 있다 9 10. 사이클로스포린을 처방받는 고양이는 고양이 면역결핍성 바이러스(FIV) 및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FeLV) 검사 결과가 음성이어야 하며, 날고기를 사냥하거나 먹어서는 안되는데, 이는 치명적인 톡소플라스마증(toxoplasmosis)이 발생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낙엽천포창

발병원인 및 임상징후

낙엽천포창(pemphigus foliaceus, PF)은 고양이에게서 가장 흔한 자가면역 피부질환(autoimmune skin disease)으로 피부 전문 수의사가 볼 수 있는 전체 증례의 약 1% 정도를 차지한다 1. PF는 얼굴, 귀, 발을 침범하는 피부질환으로 농포성, 미란성, 가피성 피부병증(dermatosis)이다. 재발이 빈번하며 대부분의 증례에서 각 환자에게 맞춤화된 장기간의 치료가 필요하다 13 14 15 16 17 18

대부분의 낙엽천포창(이하 PF) 증례는 특발성으로 알려져 있으며, 나머지는 약물 반응이나 백신 반응 13 14 15 16, 흉선종(thymoma) 14 15 16, 레슈마니아증(leishmaniasis) 14으로 인해 초래된다. PF는 피부의 표피에 있는 각질형성세포 사이의 세포 연접(intercellular connections)인 데스모솜(Desmosome)을 공격하는 자가항체(autoantibody)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세포 간 접착력이 상실되고 가시세포해리세포(acantholytic cells)가 형성되어 각질층하부(subcorneal) 및 표피 내 농포에 축적되고, 결국 가피가 형성되어 PF 증례에서 전형적으로 발견되는 모습의 가피가 생긴다 13 14 15 16. PF가 있는 대부분의 고양이에게서 조직-결합성과 순환성 항각질세포 IgG 자가항체(anti-keratinocyte IgG autoantibodies)가 모두 검출되지만, 정확한 병리학적 기전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며, 주요 표적자가항원(target autoantigen)에 대해서도 아직 알려진 바가 없다 14 15 16 17 18.

PF 발병 연령의 중앙값은 6세이며 범위는 0.25-16세이다 13 14 15 16 17 18. 도메스틱 품종 고양이에게 더 많이 나타나며, 성별 소인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최근 두 건의 리뷰 연구에 따르면 암컷이 PF에 약간 더 취약한 것으로 보인다 13 14. PF는 양측이 대칭적인 농포성 질환(pustular disease)이지만, 농포가 쉽게 파열되기 때문에 전형적인 임상 징후는 가피, 미란, 궤양, 홍반, 탈모인 경우가 빈번하다(그림 6). 대부분의 증례에서 신체부위 중 한 곳 이상에서 병변이 나타나며, 특히 머리/얼굴, 발톱 주름(claw folds), 발/육구에 병변이 생긴다 13 14 15 16 17 18. 증례에 따라서는 발톱 주름에만 유일하게 병변이 발생할 수 있는데, 고양이에게 발가락 여러 개에 미란성, 삼출성, 가피성 발톱주위염(paronychia)이 생겼다면 PF를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14. 이러한 발톱주위염은 때로는 증상이 너무 심해서 발가락이 강제로 벌어지게 된다(그림 7). 소양증은 증례마다 그 정도가 다양하며 모든 증례의 절반 이상에서 무기력, 발열, 식욕부진과 같은 전신 징후를 보인다 13 14 15 16 17. 심각한 병변이 발을 침범한 경우에는, 통증이 심하고 파행이 온다. 임상 병리학 검사 소견상 백혈구증가증, 호중구증가증, 고글로불린혈증, 빈혈 등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13 15.

진단

전형적인 임상 징후가 있는 경우, 즉, 농포 및 가피가 신체 여러 부위에 양측으로 대칭적이거나, 발가락 여러 부위에 발생한 경우, 농포 또는 가피 하부에서 직접 표본을 채취하여 세포학 검사를 시행한다. 세포학 검사상 가시세포해리세포(acantholytic cells: 세포질의 색이 짙은 원형 각질세포(keratinocyte)로 “계란 프라이” 모양)가 정상 호중구(간혹 호산구)와 함께 보이는 것이 특징적 소견이다 15 16 17 18 (그림 8).

PF는 농포 전체 혹은 (농포를 채취할 수 없는 경우) 가피를 생검하여 확진한다. 조직병리학 검사상 가피 내에 전형적으로 많은 수의 모낭, 각질하층과 과립 내 농포, 수많은 가시세포해리성 각질세포(acantholytic keratinocytes), 호산구, 비만 세포, 형질 세포를 동반한 호중구 침윤이 관찰된다 13 14 15 16 17 18.

치료

고양이 PF는 예후가 좋으며, 대부분 치료 시작 후 몇 주 이내에 회복하기 시작한다 13 14 15 16 17 18. 이때, PF가 관리된다는 개념은 병변 부위 악화가 중단되고 원래 상태로 치유되기 시작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지, 반드시 모든 징후가 완전히 사라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 중요하다 14. 대부분의 고양이 PF 증례에서 글루코코르티코이드(glucocorticoid, GC) 단일 요법만으로 치료반응이 매우 좋은데, 보통 초기 용량으로 프레드니솔론을 매일 2-4mg/kg씩 투여하지만 많은 증례에서 더 낮은 투여 용량에도 치료반응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다른 치료 옵션으로는 경구용 트리암시놀론(0.2-0.6mg/kg) 또는 덱사메타손(0.1-0.2mg/kg)을 투여하는 것이다. 질병이 최소 2주 동안 진행되지 않고, 처음 발생한 피부 병변이 대부분 치유되면 투여 용량을 점감하는(2-4주마다 20-25% 감량) 것을 권장한다 14 15 17 18.

고양이의 PF 증상을 관리할 수 있는 비스테로이드성 약물(Non-steroidal drugs)로는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e; 매일 5-10mg/kg) 및 클로람부실(chlorambucil; 매일 0.10.3mg/kg)이 있는데, 글루코코르티코이드(이하 GC) 요법으로 치료하면서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날 때나 GC 용량을 점감할 수 없는 상황, GC 단일 요법에 치료 반응을 보이지 않는 증례에서 사용이 권장된다 14 15 16 17 18. 대부분의 PF 증례에서 약물 점감 및 중단 시 재발 빈도가 높기 때문에 장기간 치료가 필요하며, 증상이 잘 관리되는 증례에서도 재발할 수 있다 13 14 15 16 17 18. 보호자는 진단 시점부터 질병 재발의 가능성을 인식해야 하며 다양한 치료 프로토콜 및 부작용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호산구성 육아종(EG)이 있는 고양이의 육구에 생긴 궤양성 가피

그림 5. 호산구성 육아종(EG)이 있는 고양이의 육구에 생긴 궤양성 가피 ©Courtesy of Dr. Federico Leone

 고양이의 낙엽천포창(PF) 병변 부위 즉, 콧잔등, 귓바퀴, 앞발에 가피가 형성되어 있다.

그림 6. 고양이의 낙엽천포창(PF) 병변 부위 즉, 콧잔등, 귓바퀴, 앞발에 가피가 형성되어 있다. © Ronnie Kaufmann

낙엽천포창(PF)은 심각한 발톱주위염을 유발하고 가피를 형성하여 발가락이 벌어지게 된다. 이 증례에서는 병변이 며느리발톱(dewclaws)을 포함한 모든 발과 모든 발가락을 침범하였다.

그림 7.  낙엽천포창(PF)은 심각한 발톱주위염을 유발하고 가피를 형성하여 발가락이 벌어지게 된다. 이 증례에서는 병변이 며느리발톱(dewclaws)을 포함한 모든 발과 모든 발가락을 침범하였다. © Ronnie Kaufmann

 낙엽천포창(PF)이 있는 고양이의 농포에서 채취한 전형적인 세포학적 검사 소견. 세포질의 색이 진하고 원형인 각질세포(keratinocyte)는 마치 호중구로 둘러싸인 “계란 프라이”(즉, 가시세포해리세포) 모양이다.

그림 8. 낙엽천포창(PF)이 있는 고양이의 농포에서 채취한 전형적인 세포학적 검사 소견. 세포질의 색이 진하고 원형인 각질세포(keratinocyte)는 마치 호중구로 둘러싸인 “계란 프라이”(즉, 가시세포해리세포) 모양이다. © Ronnie Kaufmann

Ronnie Kaufmann

형질세포 지간피부염(PCP)은 궤양 유무에 관계없이 일반적으로 한 개 이상의 발바닥 중앙 육구에 발생하는 부드러운 부종을 특징으로 합니다. 다른 피부 병변 없이 발바닥 중앙 육구에 부드러운 부종이 발생한 경우, PCP일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미세침흡인(FNA)을 통해 확진해야 합니다

Ronnie Kaufmann

모기 물림 과민증

발병원인 및 임상징후

고양이 모기 물림 과민증(mosquito bite hypersensitivity, MBH)은 흔하지 않은 계절성 소양성 피부염으로 일반적으로 얼굴, 귀, 발바닥 패드를 포함하여 털이 거의 없는 피부에 발생한다. 모기에 물리면 IgE I형 과민반응이 일어난다 10 19

모기 물림 과민증(이하 MBH)은 연령, 성별, 품종에 따른 소인(predilection)이 없다. 고양이들은 종종 다리를 뻗은 상태로 누워 있기 때문에, 콧잔등, 귓바퀴, 귀 주위, 안와 주위, 발바닥 패드 등 털이 거의 없는 부위에서 병변을 볼 수 있다. 홍반성 구진 또는 플라크가 미란이나 궤양으로 진행되고 가피가 생긴다. 발바닥 패드에 각질증식증(hyperkeratosis)과 색소 침착이 흔하게 나타나며, 소양증이 심할 수 있다. 때로는 국소 림프절병증(lymphadenopathy), 발열, 경미한 호산구증가증이 나타난다 10 19.

진단

병변이 생긴 발의 수에 따라, 앞서 언급한 지간피부염(pododermatitis)의 원인을 고려하여 감별진단해야 한다. 세포학적 검사상 병변과 림프절 표본에 호산구가 우세한 경우 MBH로 진단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19. 전형적인 조직 병리학적 소견으로 호산구성 모낭염(folliculitis)과 절창증(furunculosis), 호산구 세포외배출(eosinophil exocytosis), 미만성 진피 호산구성 염증이 보이며, 때로 불꽃 모양(flame figures)으로 보이기도 한다 19. MBH가 의심되고 계절성 병력이 있는 경우, 모기를 피하도록 하면 며칠 내에 회복된다.

치료

일반적으로 급성 임상 징후를 제어하려면 단기간의 전신 GC 요법이 필요하지만, 모기를 피하는 것이 치료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10 19. 모기가 활동하는 시간에는 고양이를 실내에 있도록 하고, 보호용 기생충 방지 칼라(protective antiparasitic collar)를 착용하도록 한다 19

전이성 선암종

원인 및 임상징후

고양이 폐-발가락 증후군(Feline lung-digit syndrome, FLDS)은 원발성 폐종양(primary lung tumors), 즉 폐에 생긴 선암종(adenocarcinoma)으로부터 발가락으로 전이(metastasis)가 진행되는 비정상적인 양상을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20 21 22. 원발성 폐종양은 고양이에게 희귀한 종양으로 선암종이 가장 흔하다 21. 한 후향적 연구에 의하면, 발가락에 있는 암종(carcinomas)의 88%는 원발성 폐암(lung carcinoma)에서 전이된 것으로 나타났다 23. 절단된 고양이 발가락 85개를 생검하여 조사한 한 최근 연구에서 대부분(63개)이 신생물로 확인되었으며 95.2%가 악성(malignant)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24. 확인된 신생물 중 폐로부터 전이된 선암종이 3번째로 가장 흔한 원인이었으며, 해당 연구에 의하면 조직 병리학 검사상 절단된 발가락 6개 중 약 1개가 전이성 병변이었다 20. 발가락으로의 전이성 확산은 이러한 병변의 혈관 침습적 특성과 후속 혈액학적 확산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고양이는 발가락으로 흐르는 혈류가 많기 때문에 상당한 비율로 발가락에 전이된다고 설명할 수 있다 20.

고양이 폐-발가락 증후군(이하 FLDS)은 발병 평균 연령이 12세(전체 범위 4-20세)로 노령묘에게 주로 발병하는 드문 질병이다 20 24. 일반적으로 며느리 발톱(dew claws)을 제외하고 20 22 발가락 한 개 이상에 발생한다. 전형적인 징후로는 파행, 발가락 부종, 발톱뿌리(nail bed)에 화농성 분비물, 발톱의 고정된 외피(fixed exsheathment)가 나타난다(그림 9). 원발성 폐종양은 임상 징후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진단

FLDS는 방사선 조영술을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는데, 발가락 방사선 사진으로 P3의 골용해(osteolysis), P2-P3 관절 내 공간으로의 전이 가능성, P2의 골용해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이러한 발가락 방사선 사진과 함께, 보통 양쪽 폐후엽(caudal lung lobes)의 경계가 뚜렷한 단일 종괴(solitary circumscribed mass)를 보여주는 흉부 방사선 사진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20 21 22. 드문 일이지만, 흉부 방사선 촬영이 민감도가 낮아 CT스캔이 필요할 수도 있다 22. 방사선 사진만으로 확신할 수 없는 경우, 절단된 발가락으로 조직 병리학 검사를 통해 확진하도록 한다 20 22 23 24.

치료

예후는 암울하며, 생존 가능 기간은 최소 12일에서 최대 125일까지로 보고되어 있다. 보통 통증, 무기력, 식욕부진을 보여 고양이를 안락사하게 되는데 20 21, 그전에 갑작스럽게 사망할 수도 있다 21. 예후가 좋지 않기 때문에 발가락 절단 수술에 대해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20 21 22.

고양이 폐-발가락 증후군(FLDS)이 있는 고양이의 발톱. 발톱 주위염(paronychia), 출혈, 발톱의 고정된 외피(fixed exsheathment)가 보인다.

그림 9. 고양이 폐-발가락 증후군(FLDS)이 있는 고양이의 발톱. 발톱 주위염(paronychia), 출혈, 발톱의 고정된 외피(fixed exsheathment)가 보인다. Courtesy of Dr. Federico Leone

결론

육구에 병변을 보이는 고양이는 피부 검사와 신체 검사를 모두 철저하게 받아야 한다. 임상 징후가 다리에 국한되면 PCP와 FLDS에 가능성을 두고 감별진단이 필요하다. 때때로 발에만 부분적으로 병변이 발생한 EG일 수 있는데, 이 경우 총체적인 병변의 모습을 따져보아 잠정적으로 감별진단하되, FNA 검사소견으로 확진할 수 있다. PF도 역시 드물게 발에만 국한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모든 발에 병변이 생기며, 심한 발톱주위염(paronychia)이 동반된다. EG, MBH, PF의 경우, 일반적으로 다른 신체 부위에도 병변이 발생하는데, EG의 경우 얼굴에 산발적으로 병변이 분포하며 MBH의 경우 털이 듬성듬성한 얼굴 부위에만 국소적으로 병변이 나타나지만, 이와는 반대로 PF는 보통 양측에 대칭적으로 농포 및 가피를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전신 증상은 PF의 증례에서 더 흔하다. 조직 병리학 검사를 통해 확진하며 치료는 일반적으로 면역조절요법으로 이루어지지만, 각 질병에 따라 치료법이 서로 다르며, 예후 또한 다르다.

References

  1. Scott DW, Miller WH, Erb HN. Feline dermatology at Cornell University: 1407 cases (1988-2003). J Feline Med Surg 2012;15(4):307-316.

  2. Cain CL, Mauldin EA. Diagnostically Challenging Dermatoses of Cats. In: Little SE (ed.) August's Consultations in Feline Internal Medicine Vol. 7. 1st ed. St Louis, MO; WB Saunders 2016;295-306.

  3. Banovic F. Immune-Mediated Diseases. In: Noli C, Colombo S (eds.) Feline Dermatology. 1st ed. Switzerland AG, Springer Nature 2020;511-530.

  4. Guaguere E, Prelaud P, Degorce‐Rubiales F, et al. Feline plasma cell pododermatitis: a retrospective study of 26 cases. Vet Dermatol 2004;15:27.

  5. Scarampella F, Ordeix L. Doxycycline therapy in 10 cases of feline plasma cell pododermatitis: clinical, haematological and serological evaluations. Vet Dermatol 2004;15:27.

  6. Bettenay SV, Mueller RS, Dow K, et al. Prospective study of the treatment of feline plasmacytic pododermatitis with doxycycline. Vet Rec 2003;152:564-566.

  7. Bettenay SV, Lappin MR, Mueller RS. An immunohistochemical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evaluation of feline plasmacytic pododermatitis. Vet Pathol 2007;44:80-83.

  8. Pereira PD, Faustino AMR. Feline plasma cell pododermatitis: a study of 8 cases. Vet Dermatol 2003;14:333-337.

  9. Buckley L, Nuttall T. Feline eosinophilic granuloma complexities: some clinical clarification. J Feline Med Surg 2012;14:471-481.

  10. Bloom PB. Canine and feline eosinophilic skin diseases. Vet Clin North Am Small Anim Pract 2006;36:141-160.

  11. Miller WH, Griffin CE, Campbell KL. Miscellaneous skin diseases. In: Muller and Kirk's Small Animal Dermatology. 7th ed. Philadelphia, WB Saunders, 2013;695-723.

  12. Pressanti C, Cadiergues MC. Feline familial pedal eosinophilic dermatosis in two littermates. J Feline Med Surg 2015;1(1):2055116915579683.

  13. Jordan TJM, Affolter VK, Outerbridge CA, et al. Clinicopathological findings and clinical outcomes in 49 cases of feline pemphigus foliaceus examined in Northern California, USA (1987-2017). Vet Dermatol 2019;30:209-219.

  14. Bizikova P, Burrows A. Feline pemphigus foliaceus: original case series and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BMC Vet Res 2019;22:1-15.

  15. Preziosi DE. Feline pemphigus folliaceus. Vet Clin Small Anim 2019;49:95-104.

  16. Olivry T. A review of autoimmune skin diseases in domestic animals: 1 – superficial pemphigus. Vet Dermatol 2006;17:291-305.

  17. Bizikova P. Autoimmune Diseases. In: Noli C, Colombo S (eds.) Feline Dermatology. 1st ed. Switzerland AG, Springer Nature 2020;495-509.

  18. Klinger CJ, Mueller RS. Pemphigus foliaceus in feline patients. Vet Focus 2018;28.1:15-19.

  19. Mason K. Mosquito-byte Hypersensitivity. In: Noli C, Colombo S (eds.) Feline Dermatology. 1st ed. Switzerland AG Springer Nature, 2020;489-494.

  20. Goldfinch N, Argyle D. Feline lung-digit syndrome: unusual metastatic patterns of primary lung tumors in cats. J Feline Med Surg 2012;14:202-208.

  21. Sugiyama H, Maruo T, Shida T, et al. Clinical findings in lung-digit syndrome in five cats. J Jpn Vet Cancer Soc 2010;1(1):8-13.

  22. Thrift E, Greenwell C, Turner AL, et al. Metastatic pulmonary carcinomas in cats (“feline lung-digit syndrome”): further variations on a theme. J Feline Med Surg open rep 2017;1-8.

  23. van der Limde-Sipman JS, van den Ingh TS. Primary and metastatic carcinomas in the digits of cats. Vet Q 2010;3:141-145.

  24. Wobeser BK, Kidney BA, Powers BE, et al. Diagnoses and clinical outcomes associated with surgically amputated feline digits submitted to multiple veterinary diagnostic laboratories. Vet Pathol 2007;44:362-365.

Ronnie Kaufmann

Ronnie Kaufmann

The Veterinary Teaching Hospital, Koret School of Veterinary Medicine, Th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Israel 더 읽기

이번호의 다른 기사

발행호 번호 31.1 출간일 23/09/2021

Elizabethan collars for cats

엘리자베스 칼라(Elizabethan collar)는 고양이의 소양증에 자주 사용되지만, 동물 복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

의하여 Anne Quain

발행호 번호 31.1 출간일 16/09/2021

Feline cutaneous lymphoma

고양이 피부림프종(cutaneous lymphoma)은 드물지만 생명을 위협하는 신생물(neoplasm)로 많은 피부과 증례의 감별 진단 목록에 포함된다.

의하여 Hannah Lipscomb 그리고 Filippo De Bellis

발행호 번호 31.1 출간일 09/09/2021

Diseases of the feline nasal planum

고양이 코의 피부 병변은 감별 진단도 어렵고 치료하기도 쉽지 않다.

의하여 Christina Gentry

발행호 번호 31.1 출간일 05/05/2021

FELINE DERMATOPHYTOSIS

백선 또는 링웜(ringworm)이라고도 불리는 피부사상균증(dermatophytosis)은 고양이에게 흔히 나타나는 피부 진균 감염증으로, 가능한 빨리 진단하여 치료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Amelia White가 피부사상균증에 대하여 설명한다.

의하여 Amelia G. White